사주 명리 : 형(刑)
2025. 2. 13. 12:44ㆍ사주 명리
형(刑)
'형'이라는 한자는 본래 '형벌을 내린다'는 의미를 지닌다. 상형적으로 해석하면, 왼쪽의 형태를 칼로 깎아내거나 다듬는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어 '조정'의 의미 내포하고 있다.
삼형, 사형, 자형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삼형 외에는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삼형은 사고, 입원, 수술, 송사 등 여러 사건과 연관되며,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형이 작용하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 전개될 수 있으며, 충보다 더 강력한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1. 삼형(三刑)
1-1. 인사신(寅巳申, 寅巳, 巳申, 寅申)
인사신 삼형은 지세지형(持勢之刑)이라고 하며, 자신의 세력을 과신하다가 일을 그르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삼형살은 인·사·신 세 글자가 모두 모였을 때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며, 두 글자만 존재해도 그 작용력이 나타난다.
계절의 시작점에서 세 글자가 만나면서 조정의 에너지가 크게 소모되고, 이로 인해 삼형의 기운이 발현된다.
충동적인 언행이 잦아지고, 그로 인해 각종 사건과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신중함을 유지하고 행동을 조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축술미(丑戌未, 丑戌, 戌未, 丑未)
축술미 삼형은 무은지형(無恩之刑)이라고 하며, 배신과 냉혹함을 뜻한다. 이는 은혜를 모르는 행동이나 동료를 해치고 적과 내통하는 성질을 포함한다.
축·술·미가 모두 모이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며, 두 글자만 있어도 작용력이 나타난다.
계절이 끝날 무렵의 마지막 글자들이 만나 조정 작용을 하며, 세 글자 모두 토(土)의 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리적인 변화보다는 정신적인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관계를 이익이 아닌 진정성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며 냉철하게 상황을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2. 상형(相刑)
상형(相刑)의 상(相)은 서로 조정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2-1. 자묘(子卯)
자묘 상형은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고 하며, 예의를 벗어난 행동으로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형살이다. 주로 인간관계, 감정, 사고 등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3. 자형(自刑)
자형(自刑)은 자기 자신과 충돌하는 형으로, 내적 갈등을 유발하며 스스로를 억누르는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스트레스, 강박관념, 자기 모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리적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3-1. 진진(辰辰)
변덕스러움 내적갈등
3-2. 오오(午午)
감정기복, 무기력, 충동
3-3. 유유(酉酉)
엄격, 냉정
3-4. 해해(亥亥)
불안정, 이성 작용, 내면의 혼란
사주 명리 : 지지합(合) - 삼합(三合)과 방합(方合)
지지합(地地合)지지합이란 지지끼리 이루어지는 결합을 의미한다. 천간이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요소를 상징한다면, 지지는 현실 세계와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기반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에
arlang.tistory.com
사주 명리 : 지지충(沖)
지지충(沖) 천간충은 주로 정신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직접적인 현실적 타격보다는 내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 반면, 지지는 현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삶에 구체적이
arlang.tistory.com
사주 명리 : 천간합(天干合)
천간합(天干合)이 란? 천간합은 두 개의 천간이 서로 작용하여 특별한 기운을 만들어내는 현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갑기합(甲己) 화 토(土), 을경합(乙庚) 화 금(金), 병신
arlang.tistory.com
'사주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명리 : 음양(陰陽)오행(五行) (0) | 2025.02.15 |
---|---|
사주 명리 : 파(破), 해(害) (0) | 2025.02.14 |
사주명리 : 지장간(支藏干) (0) | 2025.02.12 |
사주 명리 : 지지충(沖) (2) | 2025.02.11 |
사주 명리 : 지지합(合) - 암합(暗合)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