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캔버스(Lean Canvas) 란?
2025. 1. 31. 14:36ㆍUXUI
린 캔버스(Lean Canvas)
린 캔버스(Lean Canvas)는 스타트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신속하게 구체화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적 도구이다. 에릭 리스(Eric Ries)의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개념에서 착안하여 Ash Maurya가 고안했으며,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를 스타트업 환경에 보다 최적화된 형태로 재구성한 것이다.

1. 린 캔버스의 주요 구성 요소
1-1. 문제(Problem)
고객이 겪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를 파악한다.
스타트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1-2. 고객 세분화(Customer Segments)
목표로 삼을 고객 그룹을 명확히 정의한다.
초기 고객(Early Adopters)과 잠재 고객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1-3.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를 설명한다.
어떤 방식으로 고객의 문제를 해결할지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1-4. 해결 방안(Solution)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간략히 제시한다.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1-5. 채널(Channels)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경로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모바일 앱, SNS 등 다양한 접점을 설정할 수 있다.
1-6. 수익 모델(Revenue Streams)
비즈니스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구독, 광고, 제품 판매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고려할 수 있다.
1-7. 비용 구조(Cost Structure)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주요 비용을 정리한다.
고정 비용과 변동 비용을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1-8. 핵심 지표(Key Metrics)
비즈니스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 지표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고객 획득 비용(CAC), 고객 생애 가치(LTV) 등이 있다.
1-9. 우위 요소(Unfair Advantage)
경쟁자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차별화된 강점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특허 기술, 브랜드 신뢰도, 독점적 데이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2. 린 캔버스의 장점
- 간결성: 복잡한 비즈니스 모델을 한 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 신속성: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다.
- 고객 중심: 문제 해결과 고객 니즈 충족에 초점을 맞춘다.
- 유연성: 시장 반응에 따라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다.
3. 사용 방법
- 캔버스를 작성하기 전에 고객 인터뷰와 시장 조사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한다.
- 각 항목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리하며, 불확실한 부분은 가설로 설정한다.
- MVP를 활용해 가설을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반영해 개선해 나간다.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 란? 사용자 그룹을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이다.이를 통해 각 그룹의 특성, 요구, 행동 패턴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더 용이하게 사용자 중심적인 전략
arlang.tistory.com
퍼소나(Persona) 모델링
퍼소나(페르소나) 란?연극 탈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됐다. 제품, 서비스, 시스템 등을 설계할 때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을 뜻한다. 이는 사용자 조사를 바탕으로 만들
arlang.tistory.com
'UX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여정지도(Journey Map) (0) | 2025.02.06 |
---|---|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 (2) | 2025.01.30 |
퍼소나(Persona) 모델링 (0) | 2025.01.28 |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이란? (0) | 2025.01.28 |